![](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ZJoB/btsL3XQELwV/70ToI4ae6kelKZSkelzPo0/img.jpg)
추석 연휴를 즐기고 금요일에 학원에 갔다. 처음으로 아침 8시 30분에 2호선이 비어 있어서 너무 기분 좋게 왔다. 월요일에는 비대칭키를 이용한 원격 프롬프트 자동 접속을 설정해 보았다. 이날은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들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배웠다. 하나하나씩 적어보겠다. 첫째로 리눅스의 전원 관리에 대한 명령어이다. 전원 관리 방식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리눅스뿐만이 아닌 멀티유저 방식의 OS라면 다 비슷비슷할 것 같다. 1. 끄기2. 재부팅3. 로그아웃 으로 3가지의 방식이 있다. 끄기부터 보자면 GUI 우측 위 버튼에서 전원 종료 혹은 CLI 상태에서의 명령어 사용으로 전원을 끌 수 있다. 혹은 CLI 상의 shell 에서 1. shutdown -h now2. halt -p3. init 0 를..
클라우드 국비 과정/리눅스
2025. 2. 1. 13:4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OSI 7계층
- accessdb
- 프로토콜
- adminitrative distance
- Lan
- IP
- dns mtu
- domain server (255.255.255.255)
- sticky_bit
- longest match rule
- vmware 자동로그인
- 종단장치
- permission
- TCP
- presentaion
- circuit-switching
- ed25519
- 리눅스 전원
- 서브네팅
- 스파인 스위치
- CCNA 1년 도전기
- 리프 스위치
- icmp code
- 스케일 인
- ios prompt
- putty 원격접속
- cisco error message
- WAN
- OSI
- vm cop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