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강의 3일차_2025_01_20
저번 시간에는 인/디캡슐레이션, 1계층, 2계층 장비까지 공부를 했었다. 오늘은 3계층에 접어들어 IP에 관한 공부를 했다. 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으로 MAC 주소가 장비의 고유 이름이었다면, IP 주소는 논리적인 위치에 따라서 변할 수 있는 주소이다. 논리적 주소에 몇 개 더 있는데 바로 포트 번호(프로세스의 주소)와, Domain Name이다. 포트 번호는 주소라고 하기엔 애매하지만, 목적지로 향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주소로 본다면 주소로 생각되기에 그렇게 적었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를 보고 정상적인 호스트의 PC에 들어왔을 때 어떤 프로세스에 할당이 돼야 하는 데이터인지 알기 알려주기 위해 송신 시 포함을 한다. 도메인 네임은 실제 통신이 가능한 주소가 아닌 문자 형태의 주소이다. 당연히 ..
클라우드 국비 과정/네트워크
2025. 1. 20. 21:03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페킷
- cisco error message
- ed25519
- 스케일 다운
- adminitrative distance
- vmware 자동로그인
- WAN
- Lan
- 리프 스위치
- 프로토콜
- 컴퓨터 시스텀
- OSI
- 종단장치
- CCNA 1년 도전기
- #포워딩
- 스케일 인
- icmp code
- IP
- 리눅스 전원
- dns mtu
- longest match rule
- circuit-switching
- TCP
- putty 원격접속
- presentaion
- ios prompt
- 서브네팅
- domain server (255.255.255.255)
- OSI 7계층
- 스파인 스위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