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시간에는 MariaDB의 DDL, DML, DCL의 개념을 알고 어떤 명령어들이 있는지 확인했었다. 이번 시간에는 DCL의 명령을 실행시켜 보자. user 1,2,3을 생성하고 user1에는 어떠한 권한도 주지 않고, user2, user3에 권한을 각각2에는 shopping_db의 고객 테이블만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3에는 shopping_db에 전부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권한 상태를 보고 싶을 때는 show grants for '유저명'@'유저IP'를 적어주면 된다. user1은 권한이 없어 db로 이동도 하지 못하고, show databases;를 사용 시 db가 2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제 user2로 로그인해 보자. user2는 customer 테이블은 조회할 ..
클라우드 국비 과정/리눅스
2025. 2. 17. 22:2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permission
- putty 원격접속
- Database
- 방화벽
- OSI 7계층
- named.conf
- tar
- 서브네팅
- WAN
- dns
- getsebool
- CCNA 1년 도전기
- WordPress
- IP
- 리눅스 전원
- ed25519
- GROUP BY
- zon
- JOIN
- 프로토콜
- OSI
- 캐싱네임서버
- vmware 자동로그인
- TCP
- Lan
- sticky_bit
- DBMS
- mariaDB
- vm copy
- accessdb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