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6ltU/btsMg5AacLW/mteJy5Imfvmc88koOo4Nq0/img.png)
전날엔 네임 서버를 실행하고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마스터/슬레이브 서버의 동작과 push 동작까지 확인했다. push 방식을 해봤으니 이젠 pull 방식을 해본다. 실습 과정은 첫 번째 리눅스의 swj.so.mega.zone의 파일에서 시리얼값을 1 올리고 저장하고 나온 뒤 초기값을 13일00번째 시리얼로 설정하고 두 번째 리눅스에 push 해준다.restart 하지 말고 두 번째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잠시 끊어 놓고 첫 번째 리눅스의 named를 restart한다.그러면 첫 번째 리눅스가 슬레이브에게 push 해도 받지 못하게 된다. 이제 두 번째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하고 기다리면 정해놓은 refresh 타임이 지나면 pull 방식으로 가져온 것을 볼 수 있다.일정 시간이 지나면 되는 것을 볼..
카테고리 없음
2025. 2. 13. 20:5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named.conf
- 종단장치
- TCP
- ed25519
- 서브네팅
- permission
- CCNA 1년 도전기
- sticky_bit
- WAN
- vm copy
- dns
- zon
- IP
- putty 원격접속
- vmware 자동로그인
- icmp code
- OSI
- cisco error message
- 프로토콜
- circuit-switching
- domain server (255.255.255.255)
- accessdb
- Lan
- 방화벽
- OSI 7계층
- ios prompt
- mariaDB
- dns mtu
- 리눅스 전원
- 캐싱네임서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