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전날엔 네임 서버를 실행하고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마스터/슬레이브 서버의 동작과 push 동작까지 확인했다.
push 방식을 해봤으니 이젠 pull 방식을 해본다.
실습 과정은
첫 번째 리눅스의 swj.so.mega.zone의 파일에서 시리얼값을 1 올리고 저장하고 나온 뒤
초기값을 13일00번째 시리얼로 설정하고 두 번째 리눅스에 push 해준다.
restart 하지 말고 두 번째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잠시 끊어 놓고 첫 번째 리눅스의 named를 restart한다.
그러면 첫 번째 리눅스가 슬레이브에게 push 해도 받지 못하게 된다.
이제 두 번째 리눅스의 네트워크를 다시 연결하고 기다리면 정해놓은 refresh 타임이 지나면 pull 방식으로 가져온 것을 볼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이 매우 변동성이 강하므로 한 5분 정도는 기다릴 생각하자.
위임이란?
질의가 들어왔을 때 상위 도메인이 하위 도메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설정해 둔 것을 말한다.
위임에 관한 실습을 진행 해보자
실험 진행은 4명이서 함께 진행해 보자
각각의 인원은 abc, korea, jeju, sales를 맡고 마지막 sales는 /var/named/sales.jeju.korea.abc.com 파일에
알맞게 conf 파일과 zone 파일을 생성하면 된다.
우리의 목적은 com 네임 서버에 질의하여 sales의 캐시에 있는 가상의 pc 1,2,3 의 도메인 주소를 받아오는 것이다.
완료했다.
강사님께서 mega라는 도메인을 맡으시고, 우리 조가 so라는 second 도메인을 담당하고 하위 도메인을 각각의 이니셜로 구성했다.
설정 파일을 생성해 보자
named.conf 파일은 이런 식으로 생성하면 된다.
so.mega.zone 파일은 이렇게 생성하면 된다.
강사님 pc에서 잘 받아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순서대로 정해놓은 이니셜 번호도 잘 나온다.
만약 두 캐시서버를 하나씩 끈다면 문제가 없지만 두 개 다 끄고 캐시서버의 캐시를 지우면 질의의 대답을 듣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우리가 naver.com이라고 치는데 어떻게 www.naver.com에 접속이 됐을까?
$ORIGIN naver.com. 인 상황에서
@ IN A www.naver.com
혹은 별칭의 방식으로
@ IN CNAME www.naver.com
의 방식으로 해결가능하다.
자 한동안 네임 서버에 관하여 공부했으니,
이젠 DB 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
설치 후 로그인부터 해보자
Database Client Database Server
L7 mysql(foreground 동작) mysqld(background 동작)
user, password, db
L4 TCP 3306 TCP 3306
L3 127.0.0.1 127.0.0.1
mysql -h 서버_IP(3계층) -P 포트 번호(4계층) -u 사용자 -p암호 DB명
생략 시 127.0.0.1 3306 root x root
5개 다 안 적어도 입장 가능 (같은 컴퓨터라면)
하지만 mariadb는 root 계정으로 들어갈 시 그냥 진입이 가능하다. (로컬 상황에서만)
용어 정리
data
사실, 자료, 최소의 정보 단위
행, row, tuple, record
data들이 모여 한 행을 이루는 단위
Field, Columns
열, 테이블의 열, 같은 속성의 데이터 타입으로 저장돼야 함
Field명 : 1개의 테이블에서 각각 필드를 구분하는 이름
Data Type : 1개의 필드는 모두 동일한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table
표, 여러 개의 record 들의 집합
Primary Key: PK 필드(컬럼) : 비어 있지 않고, 중복되지 않은 유일한 값만 존재하는 필드
유일한 한 행을 참조하기 위한 용도
Forien key: FK 필드(컬럼) : 다른 table의 PK 필드를 참조하는 필드
DataBase : 원통 모양, 관련성 있는 테이블들의 묶음(그룹)
DBMS : Database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정형화된 데이터 Oracle, Mysql, MariaDB EX) 회원 관리
NOSQL 비정형된 데이터 MongoDB, ElasticSearch EX) 사진, 동영상
SQL (Structure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질의 언어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과 대화하는 언어
여기에 추가로 전에 배운 db에 관련된 이야기는 이번 주말에 포스팅하겠다.
'클라우드 국비 과정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강의 13일차_2025_02_17 (0) | 2025.02.17 |
---|---|
리눅스 강의 12일차_2025_02_14 (0) | 2025.02.14 |
리눅스 강의 10일차_2025_02_12 (0) | 2025.02.12 |
리눅스 강의 9일차_2025_02_11 (0) | 2025.02.11 |
리눅스 강의 8일차_2025_02_10 (0) | 2025.02.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mariaDB
- Lan
- vm copy
- 방화벽
- 캐싱네임서버
- named.conf
- sticky_bit
- OSI
- CCNA 1년 도전기
- JOIN
- 종단장치
- vmware 자동로그인
- IP
- zon
- dns
- permission
- GROUP BY
- OSI 7계층
- TCP
- 프로토콜
- getsebool
- 서브네팅
- 리눅스 전원
- accessdb
- WAN
- DBMS
- ios prompt
- putty 원격접속
- cisco error message
- ed25519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